맨위로가기

볼츠만 메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츠만 메달은 통계물리학 분야에 기여한 과학자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국제 순수 및 응용 물리학 연합(IUPAP) C3 위원회에서 전 세계 통계물리학자들의 추천을 받아 선정한다. 수상자는 연구 업적, 학문적 영향력,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되며, 노벨상 수상자는 볼츠만 메달을 받을 수 없다. 197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매년 또는 격년으로 수여되고 있으며, 케네스 G. 윌슨, 구보 료고, 조엘 레보위츠, 조르조 파리시, 존 홉필드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과학기술상 - 튜링상
    튜링상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언어,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룬 연구자들에게 수여되며 "컴퓨터 과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 미국의 과학기술상 - 브레이크스루 상
    브레이크스루 상은 과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올라퍼 엘리아슨이 제작한 원환체 트로피를 수여하며, 제네바에서 시작해 마운틴뷰,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개최되고 모건 프리먼, 케빈 스페이시, 제임스 코든 등이 진행을 맡았고 2023년부터 유튜브로 생중계된다.
  • 물리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물리학상 - 마테우치 메달
    마테우치 메달은 이탈리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물리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려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헤르만 폰 헬름홀츠, 마리 퀴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수상했으며 유럽과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적의 과학자들이 수상했지만 현재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없다.
볼츠만 메달
볼츠만 메달
볼츠만 메달
볼츠만 메달
수여 기관국제 순수 및 응용 물리학 연맹
분야통계역학
첫 수여1975년
마지막 수여2022년
빈도3년마다
수상자 목록
1975년케네스 G. 윌슨
1977년료고 쿠보
1980년데이비드 럼스덴
1983년마이클 E. 피셔
1986년데이비드 털리스
1989년레오 카다노프
1992년샹커라나 라마스와미
1995년샘 F. 에드워즈 경
1998년야코프 시나이
2001년조반니 갈라보티
2004년에드가르도 S. R. 푸골시
2007년커트 빈더
2010년지오르지오 파리시
2013년디데르 드 주
2016년데이비드 R. 넬슨
2019년존 카디
2022년데트레프 로제

2. 역사

볼츠만 메달은 1975년에 처음 제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3] 초기에는 주로 이론 물리학자들에게 수여되었으나, 점차 실험 물리학자, 수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수여되고 있다. 여러 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기관은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3명), 고등사범학교, 코넬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2명)이다.

볼츠만 메달은 이미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에게는 수여될 수 없다. 볼츠만 메달 수상자 중 세 명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케네스 G. 윌슨(1982년), 조르조 파리시(2021년), 존 호프필드(2024년)이 그들이다.

3. 수상자 선정 기준 및 절차

국제 순수·응용 물리학 연맹(IUPAP) 산하 C3 위원회는 전 세계 통계물리학자들로부터 후보자를 추천받는다. 추천된 후보자들의 연구 업적, 학문적 영향력,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상자를 선정한다. 수상자는 IUPAP C3 위원회 회의에서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볼츠만 메달은 이미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에게는 수여될 수 없다.

4. 역대 수상자

볼츠만 메달은 1975년부터 통계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이 상은 3년마다 수여되며, 수상자는 국제 순수·응용 물리학 연맹(IUPAP)의 통계물리학 위원회(C3)에서 선정한다.

역대 수상자들은 통계물리학의 다양한 세부 분야에서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다. 초기 수상자로는 케네스 G. 윌슨(1975년), 구보 료고(1977년, 변동 이론), 로드니 백스터, 마이클 피셔, 다비드 뤼엘, 야코브 시나이, 리오 카다노프 등이 있다.

1992년에는 조엘 레보위츠(평형 및 비평형 열역학)와 조르조 파리시(스핀 글래스의 평균장 근삿값 해결)가 공동 수상했다. 1998년에는 엘리엇 리브와 벤저민 위덤(유체 및 유체 혼합물의 통계 역학, 표면장력과 임계점 근처 유체의 상태 방정식 규모 가설 공식화)이 수상했다.

2001년에는 베르니 알더(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기술 발명)와 가와사키 교지(응집물질물리학의 동적 현상, 임계 근처 유체의 모드 결합 이론)가 공동 수상했다. 2004년에는 에스겔 코헨(비평형 통계역학)과 유진 스탠리(스핀 시스템의 위상 전이와 임계 현상 이론)가 수상했다.

2007년에는 쿠르트 빈더와 조반니 갈라보티가, 2010년에는 존 카디와 버나드 데리다가 수상했다. 2013년에는 조반니 조나-라시니오(입자물리학에서 자발 대칭 깨짐과 비평형 변동 이론)와 해리 스위니가 공동 수상했다.

2016년에는 단 프렌켈(동역학의 통계-기계적 이해, 연성물질의 위상 성질)과 이브 포모(비평형 현상의 통계 물리학, 유체역학, 불안정성, 패턴 형성과 혼돈 이론)가 수상했다. 2019년에는 허버트 스폰이, 2022년에는 디팍 다르(자기 조직적 임계성 모델)와 존 홉필드(신경망과 생명현상을 포함한 통계물리학 경계 확장)가 공동 수상했다.

볼츠만 메달은 노벨상 수상자에게는 수여되지 않지만, 이후 케네스 G. 윌슨(1982년), 조르조 파리시(2021년) 등 볼츠만 메달 수상자 중 일부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4. 1. 수상자 명단 (표)

볼츠만 메달 수상자 명단
연도수상자출신 대학업적
1975케네스 G. 윌슨코넬 대학교
1977구보 료고도쿄 대학교변동 이론 분야에 기여[1]
1980로드니 백스터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1983마이클 피셔메릴랜드 대학교
1986다비드 뤼엘IHÉS
야코브 시나이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1989리오 카다노프시카고 대학교
1992조엘 레보위츠럿거스 대학교평형과 비평형 열역학 및 통계물리학 커뮤니티에 중요한 기여[2]
조르조 파리시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통계물리학, 특히 스핀 글래스의 평균장 근삿값을 해결[2]
1995샘 에드워즈케임브리지 대학교
1998엘리엇 리브프린스턴 대학교
벤저민 위덤코넬 대학교유체와 유체 혼합물의 통계 역학과 그들의 계면 특성을 연구하였고, 특히 표면장력과 임계점 근처 유체의 상태 방정식을 위해 규모 가설을 일반적으로 공식화[3]
2001베르니 알더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기술을 발명하고 이러한 ‘컴퓨터 실험’으로 통계역학 분야에서 중요한 발견을 하였음. 특히, 단단한 구체의 용융/결정화 전이, 유체에서의 자기상관 함수의 장기간 감소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4]
가와사키 교지주부 대학교응집물질물리학의 동적 현상, 특히 전단 유체의 임계 현상이나 위상 분리 반응 속도론과 같은 임계 근처 유체의 모드 결합 이론과 비선형 문제에 기여[4]
2004에스겔 코헨록펠러 대학교밀도가 높은 기체의 이동 현상에 대한 이론, 비평형 정상 상태에서의 측정과 변동의 특성에 대한 이론을 포함한 비평형 통계역학에 기여[5]
유진 스탠리보스턴 대학교스핀 시스템의 위상 전이와 임계 현상 이론, 그리고 침투 문제를 포함한 통계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 기여하였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액체의 변칙적인 특성을 해석하는데 적용[5]
2007쿠르트 빈더마인츠 대학교
조반니 갈라보티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2010존 카디옥스퍼드 대학교
버나드 데리다고등사범학교
2013조반니 조나-라시니오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입자물리학에서 자발 대칭 깨짐과 비평형 변동 이론에 기여[6]
해리 스위니텍사스 오스틴 대학교통계물리학의 많은 분야에 큰 영향[6]
2016단 프렌켈케임브리지 대학교동역학의 통계-기계적 이해, 자기 조립과 연성물질의 위상 성질에 선구적인 기여[7]
이브 포모애리조나 대학교, 고등사범학교비평형 현상의 통계 물리학에 대해 기여. 특히 유체역학, 불안정성, 패턴 형성과 혼돈 이론에 대한 현대적 이해를 발전하게 함[7]
2019허버트 스폰뮌헨 공과대학교
2022디팍 다르타타 기초 연구소자기 조직적 임계성 모델의 정확한 솔루션, 계면 성장, 무질서한 자기 시스템에서의 보편적인 장기 이완법, 침투 및 클러스터 계산 문제의 정확한 해결책, 차원분열 도형의 스펙트럼의 차원 정의를 포함한 통계 물리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기여[8]
존 홉필드프린스턴 대학교분자 수준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동역학 교정부터 뇌의 계산에 대한 사고를 위한 새로운 언어를 만드는 신경망과 생명현상을 포함한 통계물리학의 경계를 확장[8]


5. 의의 및 영향

볼츠만 메달은 통계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로, 수상자들의 연구는 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상을 통해 통계물리학의 중요성이 널리 알려지고, 젊은 연구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6. 과제 및 전망

볼츠만 메달의 과제로는 비서구권, 특히 아시아 지역 연구자들의 수상 비율을 높이는 것이 남아있다. 여성 과학자의 수상 비율을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까지 여성 수상자는 없다.[1] 통계물리학의 연구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을 포용할 수 있는 유연한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

참조

[1] 서적 Statphys 19 - Proceedings of the 19th IUPA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atistical Physics World Scientific 1996-03-18
[2] 논문 Computer glitch unleashes prize nomination debate
[3] 논문 IUPAP Conference on Statistical Physics (13th). https://apps.dtic.mi[...] 1977-12-14
[4] 논문 Hard hexagons, hard squares and hard mathematics https://iopscience.i[...] 2016-10-14
[5] 논문 Preface [Journal of Statistical Physics volume 102, pages 373–374 (2001)] http://link.springer[...] 2001
[6] 논문 Walks, walls, wetting, and melting http://link.springer[...]
[7] 논문 Mathematical Journey of Yakov Sinai http://link.springer[...]
[8] 논문 Leo Philip Kadanoff
[9] 논문 Lebowitz and Parisi are Boltzmann Medalists http://physicstoday.[...]
[10] 논문 Samuel Frederick Edwards: Founder of modern polymer and soft matter theory 2016-01-05
[11] 논문 Tribute to Benjamin Widom https://pubs.acs.org[...] 2018-04-05
[12] 논문 Alder, Kawasaki Named This Year's Boltzmann Medalists
[13] 논문 Cohen, Stanley Win Boltzmann Medals http://physicstoday.[...]
[14] 논문 Retirement of Prof. H. Eugene Stanley as Main Editor of Physica A/Elsevier https://linkinghub.e[...] 2020-10-15
[15] 논문 From Varenna (1970) to Como (1995): Kurt Binder's long walk in the land of criticality http://link.springer[...] 2019-07-09
[16] 웹사이트 Statphys 23 - Boltzmann Medal http://www.statphys2[...] 2022-06-23
[17] 논문 The ubiquitous ' c ': from the Stefan–Boltzmann law to quantum information https://iopscience.i[...] 2010-10-07
[18] 웹사이트 Boltzmann medal {{!}} Statistical Physics @ Trieste https://www.statphys[...] 2022-06-23
[19] 웹사이트 STATPHYS25 http://www.statphys2[...] 2022-06-23
[20] 논문 Interview with Daan Frenkel, Boltzmann Medallist 2016: Simulating soft matter through the lens of statistical mechanics http://link.springer[...] 2016-06-28
[21] 논문 Interview with Yves Pomeau, Boltzmann Medallist 2016: The universality of statistical physics interpretation is ever more obvious http://link.springer[...] 2016-06-28
[22] 웹사이트 Boltzmann Medal for Herbert Spohn https://www.tum.de/e[...] 2022-06-23
[23] 웹사이트 StatPhys 27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atistical Physics https://statphys27.d[...] 2024-10-18
[24] 뉴스 Deepak Dhar and John J. Hopfield chosen for the Boltzmann medal https://www.thehindu[...] 2022-06-23
[25] 문서 森肇, ボルツマン賞について https://cir.nii.ac.j[...]
[26] url http://proj1.sin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